국립창원대-남해-거창대학 통합 경상남도 조례 담을 내용 논의
남해대학, 류경완·김일수도의원 참석 '통합대학 조례 간담회' 개최
장다정 기자
2025년 09월 19일(금) 09:59
|
경남도립남해대학(총장 노영식)은 15일 혁신학습지원실에서 김일수·류경완 경남도의원과 함께 '통합대학 조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남도의회 김일수 의원(국민의 힘·거창·기획행정위)과 농수산위 류경완 도의원(민주당·남해·농수산위), 노영식 총장과 학내 교직원 대표 19명, 경남도의회 기획행정전문위원실 및 경상남도 교육청년국 담당자 등 총 26명이 참석해 국립창원대-도립남해-거창대학 간 통합 과정에 대한 조례에 담을 내용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간담회를 주최한 김일수 의원은 "향후 국립대학 출범 이후 발생할 문제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남해대학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조례에 반드시 담아야 할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의견을 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도의 지원금을 창원대가 아닌 양 캠퍼스에 직접 배분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줄 것 △5년 후 도의 예산 지원 방안 △경남도-창원대 간 협의체 구성 필요성 △다층학사제가 종료되는 6년 후에도 2년제를 보장할 법 개정 요구 △조례에 캠퍼스별 특성화 방향을 명시할 필요성 △건물·부지의 소유와 관리주체가 다른 데서 오는 시설 노후화와 신축 애로 문제점의 해결책 마련 등의 요구들을 내놓았다. 참석자들은 "남해대학이 창원대학 남해캠퍼스가 되더라도 남해의 대학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라며, "국립대가 되더라도 지역대학이므로 도가 창원대에 양 캠퍼스를 대신할 '공식적인 스피커'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또, "글로컬사업이 끝나는 2029년, 통합대학 지원이 끝나는 2031년, 두 번의 '예산절벽'이 올 것"이라며 "통합 후 정부 사업 예산은 양 도립대가 아닌 하나의 국립대로 배분되니 예산편성에서 여러모로 불이익이 예상되고, 일부는 현실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노영식 총장은 "남해대학은 지역소멸의 관점에서 남해 지역의 유일한 대학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라면서 "우리 스스로 대학을 지키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오지개발특별법에 근거해 설립한 원래의 취지와 역할을 살릴 수 있게경남도와 양 지역 도의원의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요청했다.
류경완 의원은 "대학이 맞닥뜨린 현실 때문에 통합에 찬성했지만, 통합 후 도 지원이 끊기는 5년 이후가 남해대에는 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위기를 도와 학교, 남해군, 주민까지 포함해서 다시 힘을 결집하는 계기로 바꿔야 한다"면서 "우선은 거창, 남해가 협력해서 창원대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 지역에서 대학을 생존시켜야 한다는 데에는 모두 동의하고 있다. 통합은 현실화 되어가고 있고 많은 부분 이 자리에 계신 분들이 이겨나가야 한다. 그러나 통합안이 완성되기 전까지 의회에서 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하겠다. 조례 제정의 마지막 단계를 가급적 실수 없이, 빠짐없이 검토하고 보완하겠다"고 마무리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경남도의회 김일수 의원(국민의 힘·거창·기획행정위)과 농수산위 류경완 도의원(민주당·남해·농수산위), 노영식 총장과 학내 교직원 대표 19명, 경남도의회 기획행정전문위원실 및 경상남도 교육청년국 담당자 등 총 26명이 참석해 국립창원대-도립남해-거창대학 간 통합 과정에 대한 조례에 담을 내용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간담회를 주최한 김일수 의원은 "향후 국립대학 출범 이후 발생할 문제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남해대학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조례에 반드시 담아야 할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의견을 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도의 지원금을 창원대가 아닌 양 캠퍼스에 직접 배분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줄 것 △5년 후 도의 예산 지원 방안 △경남도-창원대 간 협의체 구성 필요성 △다층학사제가 종료되는 6년 후에도 2년제를 보장할 법 개정 요구 △조례에 캠퍼스별 특성화 방향을 명시할 필요성 △건물·부지의 소유와 관리주체가 다른 데서 오는 시설 노후화와 신축 애로 문제점의 해결책 마련 등의 요구들을 내놓았다. 참석자들은 "남해대학이 창원대학 남해캠퍼스가 되더라도 남해의 대학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라며, "국립대가 되더라도 지역대학이므로 도가 창원대에 양 캠퍼스를 대신할 '공식적인 스피커'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또, "글로컬사업이 끝나는 2029년, 통합대학 지원이 끝나는 2031년, 두 번의 '예산절벽'이 올 것"이라며 "통합 후 정부 사업 예산은 양 도립대가 아닌 하나의 국립대로 배분되니 예산편성에서 여러모로 불이익이 예상되고, 일부는 현실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노영식 총장은 "남해대학은 지역소멸의 관점에서 남해 지역의 유일한 대학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라면서 "우리 스스로 대학을 지키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오지개발특별법에 근거해 설립한 원래의 취지와 역할을 살릴 수 있게경남도와 양 지역 도의원의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라고 요청했다.
류경완 의원은 "대학이 맞닥뜨린 현실 때문에 통합에 찬성했지만, 통합 후 도 지원이 끊기는 5년 이후가 남해대에는 위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위기를 도와 학교, 남해군, 주민까지 포함해서 다시 힘을 결집하는 계기로 바꿔야 한다"면서 "우선은 거창, 남해가 협력해서 창원대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 지역에서 대학을 생존시켜야 한다는 데에는 모두 동의하고 있다. 통합은 현실화 되어가고 있고 많은 부분 이 자리에 계신 분들이 이겨나가야 한다. 그러나 통합안이 완성되기 전까지 의회에서 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하겠다. 조례 제정의 마지막 단계를 가급적 실수 없이, 빠짐없이 검토하고 보완하겠다"고 마무리했다.